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 나 혼자만 레벨업

by 야기어때? 2020. 3. 16.
반응형

당신은 경제에 대해서 얼만큼 아나요?

경제란 무엇일까요?? 이것에 대해 우리는 얼만큼 이야기 할 수 있을까요??

아마 수많은 사람들이 경제에 대해 이야기 하지 못할 것입니다. 



경제란 무엇일까요?

경제에 사전적 정의는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 분배 소비하는 모든 활동. 또는 그것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 - 네이버 국어사전 

사전적 정의를 본 여러분은 이제 경제에 대해 이해하셨나요?



다시 한번 생각해보겠습니다

여러분은 특별한 이유 외에는 모두 초,중,고등학교 교육을 받았습니다.

그러면 총 12년의 교육기간동안 경제공부 즉 돈 공부를 한 적이 있으신가요?

제가 특별할 수 있을 수도 있으나 저는 받아보지 못했습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여파로 인해 경제가 대불황이라는 소식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겁니다.

그러면 왜 대불황인지 코스피, 코스닥, s&p, etf가 내려갔다, 올라갔다는 말의 의미를 아시나요?

그냥 주식하는 사람들의 용어가 우리와는 관계가 없는 부분일까요?



저도 처음에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중요성을 알지만 가르쳐주는 사람이 없었기에 배움이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정말 경제를 아는 사람들끼리의 정보가 아닌 

경제를 모르는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




지금 코로나로 인해 정부는 많은 시행정책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소상공인 살리기를 위하여 임대료 인하정책 등등을 하고 있지만 

시민들이 체감적으로 느끼기에는 어렵습니다.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0%대 기준금리를 실행했습니다. 



0%대 금리가 무엇일까요??

일단 금리란 빌려준 돈이나 예금에 붙는 이자나 비율을 지칭합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빌리면 금리가 1%면 이자를 1만원을 내야하는 것입니다.

0%가 되기전 한국은행에 금리는 연 1.25%였으며 0.5%나 하락했습니다.



우리가 수치상으로만 보면 큰차이를 느끼지 못하지만 

사실상 0%대 금리라면 레버리지를 통해 더 많은 재화를 일으킬 수 있는 기회가 열린 것입니다.




쉽게 예를 들자면 100만원 빌렸습니다. 

이자가 1%일 때 만원을 내야합니다. 대게 사람들은 돈을 빌린다는 것을 두려워합니다.

하지만 생각, 발상의 차이로 100만원을 빌려서 투자하여 

102만원의 재화가치가 벌린다면 어떻게 되는것일까요?




돈을 빌림으로서 저는 더 큰 소득을 벌었습니다. 이것을 레버리지라고 표현합니다.



한국은행에서는 금리를 내린이유는 이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많은 국민들이 코로나로 인해 경제적 부담을 안고 있기에 한국은행에서는 울며 겨자먹기로 금리를 내린것이라 판단됩니다.

그러나 저의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현재 우리 국민들에게는 금리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현금흐름입니다.



저와 같은 생각을 하고 의견을 같고 있는 사람이 있어 잠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미국에 유명경제학자 누리엘 루비니 교수입니다. 

그는 현재 미국이 모든 국민들에게 현금지원을 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는 현재 미국이 전면적인 근로소득세를 감면하는 것 보다 그들이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을 지원해서 시장을 돌아갈 수 있게 국가가 지원을 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그의 말이 더 신뢰가 가는 이유는 그는 2008년 금융위기를 예측한 사람으로서 그의 말이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그의 말을 빌려서 나의 의견을 더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현재 한국은행이 금리를 내린것은 우리나라 경제에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금리가 낮아질수록 사람들은 시장에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부동자산으로 즉 부동산 투자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부동자산이 위험하다는 것이 아니라 시국이 코로나로 인해 국민들이 힘들어 하는 이 상황을 모면할 방법이 금리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현금흐름이 돌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미국에서 전국민 현금지급을 시작한다면 빠른 시일안에 주위국가에서 시행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우리나라는 미국과 밀접한 영향이 있는 국가이므로 기대를 해봅니다. 전 국민 현급지급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최대한 빨리 국민들의 삶이 안정화가 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 됐으면 하는 마음에 오늘 글을 마칩니다.

[경제]